Posts

Showing posts from May, 2020

optimistic lock vs pessimistic lock

optimistic lock : 말 그대로 lock을하고 update 를 하는 것에 대해 낙관적이다. 일단, 각 table 별로 추가적인 column 을 사용한다. hash, timestamp, version  등이다. 실패하지 않을것이라고 생각하고, lock 없이 update  를 시도한다. 대신, 읽었을때와 쓰는 순간에 version 을 비교해서 같으면 그사이 변경이 없었다는 뜻이므로 update 를 마무리를 하고, version값을 1 증가시킨다. 만일 비교한 값이 다르면 그사이에 이미 update 가 되었기 때문에 현재의 transaction  결과물은 무의미해진다. 따라서 이 결과는 쓰일수가 없고,  application level  에서 재시도를 할지, 무시할지 등에 대해 처리를 해야한다. pessimistic lock : update 를 하는것에 대해 비관적이다. 그러므로 update 를 하기 전 해당  row 에 대해 lock 을 걸어잠그고  update 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일단 lock 을 얻었으면 별다른 이유가 없는한 현재 transacton은 실패하지 않고 DB 에 쓰이게 된다. 다만, 그사이에 다른 transaction 에서 접근하는데 제약이 있다.  제약은 다시 두종류로 나누게 된다.  shared / read lock : read  는 하게 해준다 exclusive / write lock : read 도 못하게 한다 성능 측면에서 보면, pessmistic lock 이 무조건 걸어잠그고 들어가기 때문에 optimistic lock 이 더 유리하다고 볼 수는 있다. pessmistic lock 은 더구나 deadlock  의 잠재적인 위험성도 가지고 있다. concurrent access 에 따른 conflict 가 적을 것으로 예상되면, optimistic lock 을 써도 된다고 볼수 있겠다. 하지만 conflict 가 매우 많이 발...

내가 생각하는 영어 말하기가 어려운 이유 / 내가 했던 학습방법 비교 / 쉐도잉 컨텐츠의 구분

영어를 공부할 때, 4가지 영역중 가장 하기 힘든 부분이 말하기 다. 1. 듣기, 쓰기, 읽기 무엇보다 가장 적극적인 행동이 필요한 영역이다. 2. 다른 영역보다 실시간적인 요소가 중요시 된다. 3. 내용 자체도 힘든데 + 억양, 문법,발음까지 신경써야 한다. 4. 내가 한 말이 맞는지, 적절했는지, 확인할 길이 별로 없다 5. speech, presentation 같은게 아니라면, 대화를 할 상대방까지 필요하다. 많은 사람들처럼, 나도 토익은 900이 넘어도, 말은 제대로 할 줄 몰랐다. 이 상황을 조금이라도 극복해보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을 시도했었다. 1. 대형 학원 영어회화 2. 전화영어 3. 1:1 원어민 회화 4. 영국문화원 영어회화 5. skype  원어민 회화 6. OPIc 공부 7. IELTS 공부 쉐도잉 자료들에 대한 생각 1. News 정해진 스크립트를 완벽하게 훈련된 아나운서나 앵커가 읽는다. 이것을 같은 속도로 따라 말하는건 정말 어렵다. 속도를 따라가는 연습, 빠른 영어가 입에 붙는 연습 용도로는 좋지만, 내용이나 단어가, 아무래도 뉴스이다 보니 일상 생활과는 거리가 있는것 같다.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이, 9시 뉴스 를 쉐도잉 하는것에 대해 어떤 느낌일지 생각해본다. 딱딱하다. 그래서 arirang 뉴스를 한동안 연습했지만, 잠정 중단했다. 2. Movie, drama casual 한 대화를 접할 수 있는 유일한 컨텐츠이다. 하지만 이 역시도 몇가지 생각해봐야하는데. 영화나 드라마도 역시 짜여진 각본을 배우들이 연기하는 것이다. 호흡 조절이라던지, 타이밍 같은것을 연습하고 짜맞추어낸 결과물이다. 그리고 당연히, 주제, 배경, 시대, 인물의 성격에 따라 쓰는 언어가 천차만별이다. 현대식, 일반 가정이나 학교 또는 직장을 배경으로 한다 하더라도, 극적인 재미를 주는 요소나 컨텐츠가 들어가기 때문에. 이를 주의해야한다. 내가 갑자기 미국인 대가족 틈에 살 일이 있을까. 갑자기 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