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from April, 2020

내가 영어가 안들리는 이유 / 영어로 말을 못하는 이유

나는 영어가 왜 안들릴까. 곰곰히 생각을 해본다. 1. 단어, 문법, 문장구조를 모르면 안들린다. 당연한 말이지만, apple 이라는 단어를 모르면, 언어가 아닌 소리에 불과하다. 2. 또박또박, 천천히 들리지 않으면 안들린다. 실전에서든, 미드나 영화에서든, 그 누구도 듣기 좋은 속도와 발음으로 이야기하지 않는다. 내가 생각하는, 그리고 들릴것으로 기대하는 apple  이라는 단어의 sound와, 실전에서 사람들이 말하는 sound  의 괴리는 정말 크다. 3. 다양한 문맥속에서 들어본적이 없으면 잘 안들린다. 같은 단어라도 다양한 문맥에서 다양한 의미로 쓰인다. big apple  이라는 단어를 문맥에서 이해하지 못하면 그 상황에서 생각지 못한 단어가 나왔기 때문에 놓치기 쉽고 들리지 않는다. 4. 내용이 복잡하고 길어도 안들린다. 듣고, 경우에 따라 자연스럽게 번역이 되고, 이해가 되어야 하는데. 내용이 복잡하고 길어지면 이것을 감당할 수가 없다. 왜 나는 영어로 말을 못할까. 이것도 생각을 해본다. 1. 똑같이, 말하고 싶은 단어를 모르면 말할수가 없다. 형이상학적이다, 라고 표현을하고 싶은데 그 단어를 영어로 모른다. 그러면 영어가 나올 수가 없다. 문법, 문장 구조도 마찬가지. 2. 지금 상황에서 어떤 단어를 어떤 전치사와 함께 써야하는지를 모른다. 한 단어에 여러가지  뜻이 있고, 한 의미를 표현하는데 여러가지 단어들이 있기 때문이다. 들었을땐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지만, 말로 할수 없다. 3. 한국어로 말해도 말하기 힘든 경우가 있다. 논리적 사고를 한편으로 하면서 정리해가면서 말을 해야하는 경우. 회의 진행이나, 토론 같은 경우가 있다. 비교적 문맥이 정해져 있지만, 말이 막히니 생각이 막히고, 다시 말도 막히는 경우가 있다. 영어가 문제라기 보단 말하기 능력 자체가 부족한 것이다. 그럼 어떻게 해야할까. 생각해본다. 1. 첫번째로는 많이 들음으로써 다양한 context...

shadow speacking / active listening / 영어 말하기 / 영어 쉐도잉 (15/4)

Image
영어 말하기 연습자료 영어 말하기 훈련용 자료입니다. 뉴스 스크립트를 따라하는게 좀 지겨워서, 다른 자료를 좀 찾아보고 연습을 했는데요. BBC podcast 의 일부분을 BBC Reel 에서 영상으로 만든 내용 입니다. 아리랑 뉴스도 어렵다고 생각했는데... 원어민의 속도는 정말 넘사벽이네요.  단어는 분명 어려운게 없으나, 익숙한 단어여도 이정도 속도로 말을 하는게 정말 힘든 일이라는걸 다시한번 느낍니다. 빨강색  강조한 단어는 제가 듣기에 intonation 이 들어간 부분이고, // 표시는 긴 문장에서 호흡을 순간적으로 끊어가는 부분입니다. <> 사이는 특히나 말하는 속도가 빠른 구간 입니다.  https://www.bbc.com/reel/video/p088cjqy/how-much-free-time-do-we-really-have-

SwiftUI @State, @ObservedObject, @EnvironmentObject 익히기

 앱을 개발하려고 보면, 사용자의 입력을 받든, 서버에서 값을 가져오든, 변수에 값을 저장하고, 그 값의 변화에 따라 화면의 UI 가 바뀐다. objective-c와 이전의 swift 에서는 어떻게 했는지 까먹었으나, SwiftUI 는 새로 공부해보면서 정리하려고한다. There are several concepts regarding the binding between data and view of the data in SwiftUI. Below is what I understood from other developer's blogs. @State The most basic annotation that we can use. The important thing is it can be only used in a specific view.  So usually I'd use with `private` keyword. With @State basically,  struct View 밖의 special memory 에 저장되고, it is managed by SwiftUI. 이 값이 바뀔 때마다 SwiftUI 는 해당 view 를  rebuild 한다. @ State private var showFavorited : Bool = false var body : some View {      VStack{          Button(              action: { self .showFavorited.toggle() },              label: { Text( "Change filter" ) }          ) ...

Outbox pattern and Change Detect Capture

In Microservices system architectures,  basically what we want to do is splitting the one big service into small modules. And by doing this, The overall system can be more elastic. But splitting one system into smaller modules leads to an inevitable communication between modules.  I think when it comes to microservices, it's all about data and updating the data and sending the data to the other service. 1. Synchronous  REST API is a common way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ternally, well-defined API can fully achieve this task. But there are several problems. First, they need to know each other before the communication. Service Discovery provides a way of doing this but the problem still exists. And the module always should be prepared for the case of failure. And calling the HTTP method to another module will block the usage and in the end, the overall system latency will rise. 2. Asynchronous We can take advantage of a message bus like Kafka. After pe...

shadow speacking / active listening / 영어 말하기 / 영어 쉐도잉 / 뉴스 쉐도잉 (7/4)

영어 말하기 연습자료 영어 말하기 훈련용 자료입니다. 아리랑뉴스 스크립트이고, 아래 링크를 통해 원문 및 뉴스 리포터를 직접 들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듯 저도 영어의 4가지 항목(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 중 말하기가 제일 어려운데요. 영어 공부를 한다고 할때 4가지 항목중 말하기 연습에 가장 적은 시간 (사실상 0) 을 들였기 때문입니다. youtube 에 보면 쉐도잉에 대한 찬반, 효과에 대한 영상들이 많은데요. 저는 일단 최대한 많이 말해보는게 중요하고, 입에 붙이는 연습이 필요한 측면에서는 쉐도잉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대화는 혼자 연습하기가 불가능하고, 영화나 드라마는 내용이나 캐릭터 성격에 따라 단어나 억양이 천차 만별이라, 뉴스 스크립트로 연습을 시작했습니다. 난이도는 뉴스이다보니 말하는 속도나 단어들이 아주 기초 수준은 아닙니다. 저는 30초에서 2분 사이의 스크립트를 하루 1시간씩 반복 스피킹 훈련 하고 있습니다. 파랑색으로  강조한 단어는 제가 듣기에 intonation 이 들어간 부분이고, // 표시는 긴 문장에서 호흡을 순간적으로 끊어가는 부분입니다. 스크립트와 실제 리포팅의 단어가 다른 경우, 실제 들리는 단어로 수정하였습니다. 모르거나  헷갈리는 단어는 기사 하단에 적었습니다. 영어 뉴스 쉐도잉 방법 1. 스크립트를 따라 읽어보세요. 2. 직접 기자가 되어 리포팅을 한다는 느낌으로 소리내어 말해보세요. 3. 링크를 통해 실제 리포팅을 들어보시고, 반복해서 따라 말해보세요. 4. 충분히 입에 붙었다고 생각이 되면 앱을 통해 녹음을 해서 본인의 스피킹과 뉴스를 비교해보세요. Japanese Prime Minister Shinzo Abe has declared a state of emergency in seven prefectures in Japan, including Tokyo and Osaka . Prime Minister Abe had said Monday that t...

영어 뉴스 쉐도잉 3달 경과 중간 후기

1월 28일부터 오늘 4월 6일까지 약 3달간,  하루 4문장에서 10문장 정도의 뉴스 대본을 가지고 영어 말하기 연습을 하고 있습니다. 시간으로 따지면 짧은 리포트의 경우 30초, 긴 리포트는 2분 가까이 됩니다.  쉐도잉만 하면 된다, 영화 한편 씹어먹기, 미드로 쉐도잉 했더니 영어가 트인다, 등등 자극적인 제목의 영상들이 youtube 에 정말 많은데요. 제 결론은, 아직 크게 도움이 되는지 모르겠지만, 달리 대안이 없으므로 계속 꾸준히 더 해본다  입니다. 느낀점 들을때보다,  직접 따라 말해보면 속도가 정말 빠르다 알고 있는 쉬운 단어도 속도에 맞춰 발음하기가 어렵다 어려운 단어 보단 숫자를 말하는게 굉장히 어렵다 기자가 아니라서 그런지 호흡이 벅찬 문장들이 종종 있다 회고 및 계획 매일 최소 30분을 해야하는데, 이핑계 저핑계로 빼먹은 날도 많다 아직까지는 도움이 되는지 잘 모르겠다. 여전히 영어를 하려면 말문이 막힌다 한 스크립트를 쉐도잉 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처음에 비해 좀 줄어들었다. 말하기엔 이 방법 말고 대안이 없으므로 당분간은 계속 한다. 앞으로 3달 이후, 또 후기를 남길때 지금과 비교를 해보면 좋을것 같아 이렇게 기록으로 남깁니다.

shadow speacking / active listening / 영어 말하기 / 영어 쉐도잉 / 뉴스 쉐도잉 (6/4)

영어 말하기 연습자료 영어 말하기 훈련용 자료입니다. 아리랑뉴스 스크립트이고, 아래 링크를 통해 원문 및 뉴스 리포터를 직접 들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듯 저도 영어의 4가지 항목(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 중 말하기가 제일 어려운데요. 영어 공부를 한다고 할때 4가지 항목중 말하기 연습에 가장 적은 시간 (사실상 0) 을 들였기 때문입니다. youtube 에 보면 쉐도잉에 대한 찬반, 효과에 대한 영상들이 많은데요. 저는 일단 최대한 많이 말해보는게 중요하고, 입에 붙이는 연습이 필요한 측면에서는 쉐도잉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대화는 혼자 연습하기가 불가능하고, 영화나 드라마는 내용이나 캐릭터 성격에 따라 단어나 억양이 천차 만별이라, 뉴스 스크립트로 연습을 시작했습니다. 난이도는 뉴스이다보니 말하는 속도나 단어들이 아주 기초 수준은 아닙니다. 저는 30초에서 2분 사이의 스크립트를 하루 1시간씩 반복 스피킹 훈련 하고 있습니다. 파랑색으로  강조한 단어는 제가 듣기에 intonation 이 들어간 부분이고, // 표시는 긴 문장에서 호흡을 순간적으로 끊어가는 부분입니다. 스크립트와 실제 리포팅의 단어가 다른 경우, 실제 들리는 단어로 수정하였습니다. 모르거나  헷갈리는 단어는 기사 하단에 적었습니다. 영어 뉴스 쉐도잉 방법 1. 스크립트를 따라 읽어보세요. 2. 직접 기자가 되어 리포팅을 한다는 느낌으로 소리내어 말해보세요. 3. 링크를 통해 실제 리포팅을 들어보시고, 반복해서 따라 말해보세요. 4. 충분히 입에 붙었다고 생각이 되면 앱을 통해 녹음을 해서 본인의 스피킹과 뉴스를 비교해보세요. And now, as the number of newly confirmed coronavirus cases grows rapidly in Japan, its Prime Minister Shinzo Abe looks likely to announce a state of emergency. Various J...

shadow speacking / active listening / 영어 말하기 / 영어 쉐도잉 / 뉴스 쉐도잉 (5/4)

영어 말하기 연습자료 영어 말하기 훈련용 자료입니다. 아리랑뉴스 스크립트이고, 아래 링크를 통해 원문 및 뉴스 리포터를 직접 들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듯 저도 영어의 4가지 항목(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 중 말하기가 제일 어려운데요. 영어 공부를 한다고 할때 4가지 항목중 말하기 연습에 가장 적은 시간 (사실상 0) 을 들였기 때문입니다. youtube 에 보면 쉐도잉에 대한 찬반, 효과에 대한 영상들이 많은데요. 저는 일단 최대한 많이 말해보는게 중요하고, 입에 붙이는 연습이 필요한 측면에서는 쉐도잉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대화는 혼자 연습하기가 불가능하고, 영화나 드라마는 내용이나 캐릭터 성격에 따라 단어나 억양이 천차 만별이라, 뉴스 스크립트로 연습을 시작했습니다. 난이도는 뉴스이다보니 말하는 속도나 단어들이 아주 기초 수준은 아닙니다. 저는 30초에서 2분 사이의 스크립트를 하루 1시간씩 반복 스피킹 훈련 하고 있습니다. 파랑색으로  강조한 단어는 제가 듣기에 intonation 이 들어간 부분이고, // 표시는 긴 문장에서 호흡을 순간적으로 끊어가는 부분입니다. 스크립트와 실제 리포팅의 단어가 다른 경우, 실제 들리는 단어로 수정하였습니다. 모르거나  헷갈리는 단어는 기사 하단에 적었습니다. 영어 뉴스 쉐도잉 방법 1. 스크립트를 따라 읽어보세요. 2. 직접 기자가 되어 리포팅을 한다는 느낌으로 소리내어 말해보세요. 3. 링크를 통해 실제 리포팅을 들어보시고, 반복해서 따라 말해보세요. 4. 충분히 입에 붙었다고 생각이 되면 앱을 통해 녹음을 해서 본인의 스피킹과 뉴스를 비교해보세요. Japan has expanded its entry ban for foreigners from 49 more countries and territories, including South Korea , the U.S. and China,// as the country struggles to contain th...

shadow speacking / active listening / 영어 말하기 / 영어 쉐도잉 / 뉴스 쉐도잉 (4/4)

영어 말하기 연습자료 영어 말하기 훈련용 자료입니다. 아리랑뉴스 스크립트이고, 아래 링크를 통해 원문 및 뉴스 리포터를 직접 들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듯 저도 영어의 4가지 항목(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 중 말하기가 제일 어려운데요. 영어 공부를 한다고 할때 4가지 항목중 말하기 연습에 가장 적은 시간 (사실상 0) 을 들였기 때문입니다. youtube 에 보면 쉐도잉에 대한 찬반, 효과에 대한 영상들이 많은데요. 저는 일단 최대한 많이 말해보는게 중요하고, 입에 붙이는 연습이 필요한 측면에서는 쉐도잉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대화는 혼자 연습하기가 불가능하고, 영화나 드라마는 내용이나 캐릭터 성격에 따라 단어나 억양이 천차 만별이라, 뉴스 스크립트로 연습을 시작했습니다. 난이도는 뉴스이다보니 말하는 속도나 단어들이 아주 기초 수준은 아닙니다. 저는 30초에서 2분 사이의 스크립트를 하루 1시간씩 반복 스피킹 훈련 하고 있습니다. 파랑색으로  강조한 단어는 제가 듣기에 intonation 이 들어간 부분이고, // 표시는 긴 문장에서 호흡을 순간적으로 끊어가는 부분입니다. 스크립트와 실제 리포팅의 단어가 다른 경우, 실제 들리는 단어로 수정하였습니다. 모르거나  헷갈리는 단어는 기사 하단에 적었습니다. 영어 뉴스 쉐도잉 방법 1. 스크립트를 따라 읽어보세요. 2. 직접 기자가 되어 리포팅을 한다는 느낌으로 소리내어 말해보세요. 3. 링크를 통해 실제 리포팅을 들어보시고, 반복해서 따라 말해보세요. 4. 충분히 입에 붙었다고 생각이 되면 앱을 통해 녹음을 해서 본인의 스피킹과 뉴스를 비교해보세요. More than a million cases of the coronavirus have been reported worldwide and more than 53,000 people have died from it, according to latest figures fro...